일주


행동강령
상황에 안주하지 말고 끊임없는 실천으로 주어진 질서를 넘어서라.
安不忘危(안불망위)
해석
편안함에 안주하지 말고 위태로움을 잊지마라
의미
병자일에 병화는 만물의 길을 밝혀주고 생동하게 하므로 그 뜻이 만인에게 베풀고 만인을 거느리고 산다.
하지만 자수는 한밤중을 의미하기 때문에 병자는 한밤의 어둠을 밝히는 빛이 된다.
두 기운은 극단적인 양과 음의 만남이다. 이 극단적인 만남은 엄청난 에너지를 의미한다.
다만 병자의 정관적 속성이 안정적인 상황, 직장, 결혼 생활의 지속성으로 표출될 수 있다.
이는 자칫하면 안정과 보수라는 기운으로 흐를 수 있으며 현상에 안주하려고 자신의 욕망을 억누르는 방향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은 병화 자체의 힘을 잃게 되어 스스로를 고통 속에 몰아넣는다.
병자일에 필요한 것은 기존의 틀을 부수고 잘못된 질서를 넘어서려는 진취성이다.
하지만 자수는 한밤중을 의미하기 때문에 병자는 한밤의 어둠을 밝히는 빛이 된다.
두 기운은 극단적인 양과 음의 만남이다. 이 극단적인 만남은 엄청난 에너지를 의미한다.
다만 병자의 정관적 속성이 안정적인 상황, 직장, 결혼 생활의 지속성으로 표출될 수 있다.
이는 자칫하면 안정과 보수라는 기운으로 흐를 수 있으며 현상에 안주하려고 자신의 욕망을 억누르는 방향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은 병화 자체의 힘을 잃게 되어 스스로를 고통 속에 몰아넣는다.
병자일에 필요한 것은 기존의 틀을 부수고 잘못된 질서를 넘어서려는 진취성이다.
출전
『주역(周易)』 繫辭傳(계사전) 하편에 이 말이 나온다.
공자가 한 말로 지금 위태한 자는 경계하는 마음이 없었던 자이고, 멸망한 자는 항상 존속할 것으로만 생각했다며 이어진다.
‘군자는 태평할 때에 위태로움을 잊지 않고, 순탄할 때에도 멸망을 잊지 않으며, 잘 다스려질 때에도 혼란을 잊지 않는다
(君子安而不忘危 存而不忘亡 治而不忘亂/ 군자안이불망위 존이불망망 치이불망란).’
이렇게 함으로써 자신과 가정, 나라를 보전할 수 있다고 했다.
공자가 한 말로 지금 위태한 자는 경계하는 마음이 없었던 자이고, 멸망한 자는 항상 존속할 것으로만 생각했다며 이어진다.
‘군자는 태평할 때에 위태로움을 잊지 않고, 순탄할 때에도 멸망을 잊지 않으며, 잘 다스려질 때에도 혼란을 잊지 않는다
(君子安而不忘危 存而不忘亡 治而不忘亂/ 군자안이불망위 존이불망망 치이불망란).’
이렇게 함으로써 자신과 가정, 나라를 보전할 수 있다고 했다.